2020. 3. 22. 20:10ㆍ건강정보
혈관청소에 좋은 산소 음식
레드비트
"건강한 산소를 채워주는
강력한 혈관 청소부"
고지혈증 개선에 도움되는 '비트'
혈관 노폐물을 제거하는 '깨끗한 산소'를 공급해줍니다.
비트 영양소
1) 나트륨
2) 칼슘
3) 섬유소
4) 비타민
* 비트 효능
1) 항암효과 및 면역력 강화
비트의 붉은색 색소는 베타인이라는 성분으로
세포 손상을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을 하여 암 예방과 염증 완화에 효과가 있습니다.
한 실험에서는 인체 암세포에 비트즙을 투여한 결과
위암은 77%가 증식을 억제하였고, 결장암세포증식은 65%나 억제되었다고 합니다.
이밖에도 비트는 인체에 필수적인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몸속의 면역력도 강화시켜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2) 간 건강
지방간을 예방해줍니다. 또한 간의 피로를 풀어주어
간 건강에 도움을 준 뿐 아니라 잦은 음주 후에 생길 수 있는
숙취해소에도 효과적입니다.
3) 고혈압 및 혈관계 질환 예방
비트는 혈관청소부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비트 속에 풍부한 베타인 성분은 혈관 속의 혈전을 녹여주어
혈행 개선에 도움을 주고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비트를 꾸준히 섭취하면 혈관 내에 쌓인
나쁜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배출시켜줍니다.
따라서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뇌졸중 등의 각종 혈관계 질환을 예방해줍니다.
참고로 미국 심장학회 학회지에 따르면 비트를 하루에 하나씩 섭취하면
고혈압 약을 복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4) 빈혈 개선
비트는 철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성분은 적혈구의 생성과
혈액을 조절해주어 체내 산소를 공급하여 빈혈을 개선해줍니다.
또한 비트에 함유된 여러 비타민들도 빈혈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5) 항산화 효과
레드비트에는 토마토보다 8배에 달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습니다.
붉은색 채소 중에 특히 비트는 베타인이라는 붉은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데요. 이 성분은 염증 완화에 도움을 주어
각종 질병과 세포의 산화 및 노화를 예방해줍니다.
6) 다이어트
비트는 100g당 43kcal로 저칼로리 식품입니다.
비트 속의 섬유질은 하루 권장 섭취량의 11%가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비트는 다이어트 식단에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뿐 아니라 비트 속에 풍부한 미네랄과 비타민은 다이어트 중에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해 주는 효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싱싱한 비트 고르는 법
1) 눌렀을 때 단단해야 합니다.
2) 주름이 적고 싹이 없어야 합니다.
3) 뿌리가 너무 크지 않아야 합니다.
4) 색상이 강한 것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5) 크기가 너무 작거나 크지 않은 중간 크기가 좋습니다.
*비트 먹는(조리) 방법
샐러드에 곁들여 먹어도 좋고,
식초에 절여 피클로 만들어 섭취할 수 있습니다.
잎과 뿌리를 같이 갈아 과일과 함께 주스로 복용하기에도 좋습니다.
*비트 보관 방법
바로 먹을 비트는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키친타월이나 신문지에 감싼 후
비닐 팩에 넣어 냉장고(0~5도, 야채칸)에 보관하면 됩니다.
(약 2주 동안 보관이 가능합니다.)
장기간 보관하고 싶다면
삶아서 냉동보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비트의 부작용과 섭취 시 주의사항
1) 과다 섭취 주의
다량의 옥살산염이 함유되어 있는 비트는
칼슘과 결합하여 신장결석의 위험을 높이게 됩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신장결석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섭취를 중단하거나 줄이도록 권장합니다.
비트에 들어있는 식이 질산염은 과다 섭취할 경우
헤모글로빈을 변성시킨다는 보고가 있어
영유아나 어린이가 섭취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합니다.
그리고 비트는 평소 소화력이 약한 사람은 주의하시는 것이 좋으며
과잉섭취를 할 경우 복통이나 설사 등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특히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는 비트를 섭취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2) 대변이나 소변이 붉게 나오는 경우
이는 부작용이 아니라 레드비트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체내의 쌓인 노폐물을 배출시키면서 생기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합니다.
3) 알레르기 반응
드물지만 비트 섭취가 인체가 과민하게 반응하여
급성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알기 I 혈압이란? I 고혈압 증상 I 고혈압의 원인 I 정상혈압과 고혈압의 진단 기준 I 고혈압의 합병증 I 고혈압 치료 I 혈압측정 방법 (0) | 2020.05.19 |
---|---|
면역력과 장 건강의 관계 I 장 건강이 중요한 이유와 유산균의 필요성 (0) | 2020.05.18 |
멍게의 8가지 효능 I 부작용 및 주의사항 (0) | 2020.04.16 |
간헐적 단식 I 간헐적 단식의 종류 I 유의사항 (0) | 2020.03.24 |
새싹보리 효능 I 먹는 방법 I 부작용 및 주의사항 (0) | 2020.03.24 |